그런 과정 속에서 하나의 방법이 기록된 나의 위대한 생태텃밭의 샐리 진 커닝햄은 전통농업의 전통지식 뿐만 아니라..텃밭의 작물에 마당에서만 재배하는 꽃과 허브를 함께 재배해 해충을 교란시켜 피해를 줄이고 익충을 불러들여 밭작물을 이익으로 삼았다고 기록하는 부분에서.. 나는 인간의 관점에서 인간의 밭작물에 해를 입혔기 때문에 해충이라고 해 이롭게 했기 때문에 익충이라고 판단하는 부분에서 고개를 갸웃거렸기 때문에 그 답을 찾고자 그런 과정 속에서 하나의 방법이 기록된 나의 위대한 생태텃밭의 샐리 진 커닝햄은 전통농업의 전통지식 뿐만 아니라..텃밭의 작물에 마당에서만 재배하는 꽃과 허브를 함께 재배해 해충을 교란시켜 피해를 줄이고 익충을 불러들여 밭작물을 이익으로 삼았다고 기록하는 부분에서.. 나는 인간의 관점에서 인간의 밭작물에 해를 입혔기 때문에 해충이라고 해 이롭게 했기 때문에 익충이라고 판단하는 부분에서 고개를 갸웃거렸기 때문에 그 답을 찾고자
을 잠시 관찰하면서 나에게 도움이 되면 해충이고 나에게 해를 주면 익충이라고 판단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된 것은.. 매년 자라 씨를 맺은 후 스스로 떨어지거나 넓게 멀리 퍼져 종족을 번식하는 일년생 초본식물 같지만, 여러 지역의 기후와 토양에서 수없이 토착화된 풀들이 군집을 이루는 곳에서는.. 풀을 뜯어 먹은 흔적을 찾기가 매우 어려운 것을 보면 생물다양성이 회복되고 먹이사슬이 풍부한 곳에서는 먹잇감이 안정화되며 사람이 먹는 음식을 먹지 않으므로 해충이 곧 익충이 될 수 있는 것이다 을 잠시 관찰하면서 나에게 도움이 되면 해충이고 나에게 해를 주면 익충이라고 판단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된 것은.. 매년 자라 씨를 맺은 후 스스로 떨어지거나 넓게 멀리 퍼져 종족을 번식하는 일년생 초본식물 같지만, 여러 지역의 기후와 토양에서 수없이 토착화된 풀들이 군집을 이루는 곳에서는.. 풀을 뜯어 먹은 흔적을 찾기가 매우 어려운 것을 보면 생물다양성이 회복되고 먹이사슬이 풍부한 곳에서는 먹잇감이 안정화되며 사람이 먹는 음식을 먹지 않으므로 해충이 곧 익충이 될 수 있는 것이다
들처럼 초본식물만 없는 숲은 목본식물이 추가되어 들보다 풍부한 생물다양성으로 건강하고 안정된 생태계가 형성되었으니..올해 기후위기가 심각할 정도로 가속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숲은 들과 노지텃밭보다 기후위기의 영향도 비교적 적고, 숲에서 자라는 산나물도 노지보다 건강하며, 씨를 맺는 시기도 제 시기에 연결되어 있어..생물다양성이 안정화된 숲에는 먹이사슬이 풍부하므로 산나물이나 산나무에 유해한 영향을 주는 해충이 될 이유가 전혀 없는 것이다. 들처럼 초본식물만 없는 숲은 목본식물이 추가되어 들보다 풍부한 생물다양성으로 건강하고 안정된 생태계가 형성되었으니..올해 기후위기가 심각할 정도로 가속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숲은 들과 노지텃밭보다 기후위기의 영향도 비교적 적고, 숲에서 자라는 산나물도 노지보다 건강하며, 씨를 맺는 시기도 제 시기에 연결되어 있어..생물다양성이 안정화된 숲에는 먹이사슬이 풍부하므로 산나물이나 산나무에 유해한 영향을 주는 해충이 될 이유가 전혀 없는 것이다.
“그럼 텃밭을 앞으로 어떻게 가꾸어야 하느냐”는 질문에 답하면 들판처럼 숲처럼 가꾸면 된다 “그럼 텃밭을 앞으로 어떻게 가꾸어야 하느냐”는 질문에 답하면 들판처럼 숲처럼 가꾸면 된다
그러려면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까? 라는 질문에 대한 대답은.. 텃밭의 흙에서 모든 화학물질의 사용을 멈추고 건강한 천연, 자연, 생명인 유기물로 바꾼 후 그 위에 다양한 종류의 작물과 식물을 혼합하여 재배하면 된다.. 작은 텃밭은 그렇게 할 수 있지만 큰 텃밭은 불가능한 일이라고 이의를 제기하면 작은 텃밭의 기본원리를 큰 텃밭으로 확대하여 적용하면 전혀 문제없이 해결된다 그러려면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까? 라는 질문에 대한 대답은.. 텃밭의 흙에서 모든 화학물질의 사용을 멈추고 건강한 천연, 자연, 생명인 유기물로 바꾼 후 그 위에 다양한 종류의 작물과 식물을 혼합하여 재배하면 된다.. 작은 텃밭은 그렇게 할 수 있지만 큰 텃밭은 불가능한 일이라고 이의를 제기하면 작은 텃밭의 기본원리를 큰 텃밭으로 확대하여 적용하면 전혀 문제없이 해결된다
야호가원에서 예를 들어 말하면, 자급자족 텃밭을 화학물질로 가꾸던 어느 날 인위적 개입이 없는 숲과 그들은 기후위기의 영향이 매우 약한 것을 보고 모든 화학물질의 사용을 즉각 중단하고.. 숲과 들처럼 밭 자급농업을 하려고 숲과 들을 훼손하면서 밭 자급농업을 하는 이기적인 행동으로 인해 숲과 들까지 환경오염시키니 절대로 할 수 없어 어려움을 겪고 있을 때.. 숲과 들처럼 천연, 자연, 생명 유기물을 내가 사는 근처에서 찾아보면 매일 쓰레기로 버려지는 유기물이 수없이 많으므로 재활용하여(음식물 찌꺼기, 똥, 기후위기의 영향이 매우 약한 것을 보고 모든 화학물질의 사용을 즉각 중단하고.. 숲과 들처럼 밭 자급농업을 하려고 숲과 들을 훼손하면서 밭 자급농업을 하는 이기적인 행동으로 인해 숲과 들까지 환경오염시키기 때문에 절대 할 수 없어 어려움을 겪고 있을 때.. 숲과 들처럼 천연, 자연, 생명 유기물을 내가 사는 근처에서 찾아보면 매일 쓰레기로 버려지는 유기물이 수없이 많으므로 재활용하여(음식물의 잔반, 똥과 소변, 빗물, 낙옆, 재, 풀, 나뭇가지, 왕겨 등) 유기물 퇴비를 만들어 밭으로 돌려보내고
텃밭에서 수없이 자라 골치 아픈 잡초를 적으로 여겨 뽑아버리는 풀과의 전쟁을 멈추고, 풀에 대한 관점을 바꾼 후에 동반작물, 채소, 흙덮개, 퇴비로 사용하니..풀은 적이 아닌 텃밭에서는 없어서는 안 될 소중한 존재가 되어 텃밭의 흙 아래서 해마다 올라오는 풀들도(허브나 꽃도 수없이 많다) 동반작물로 생각하는 텃밭의 가족으로서..자급자족의 흙 위에서는 밭작물+꽃+허브+풀 등과 수많은 곤충과 새가 함께 살고, 자급자족의 흙 아래에서는 수많은 땅속의 곤충과 미생물이 서로 돕고, 평화롭게 살아간다. 텃밭에서 수없이 자라 골치 아픈 잡초를 적으로 여겨 뽑아버리는 풀과의 전쟁을 멈추고, 풀에 대한 관점을 바꾼 후에 동반작물, 채소, 흙덮개, 퇴비로 사용하니..풀은 적이 아닌 텃밭에서는 없어서는 안 될 소중한 존재가 되어 텃밭의 흙 아래서 해마다 올라오는 풀들도(허브나 꽃도 수없이 많다) 동반작물로 생각하는 텃밭의 가족으로서..자급자족의 흙 위에서는 밭작물+꽃+허브+풀 등과 수많은 곤충과 새가 함께 살고, 자급자족의 흙 아래에서는 수많은 땅속의 곤충과 미생물이 서로 돕고, 평화롭게 살아간다.